본문 바로가기
Market

온라인쇼핑동향 시사점

by Trendsetter 2025. 5. 14.
반응형

2025년 1월부터 3월까지의 통계청 온라인쇼핑동향 보고서를 기반으로 핵심 내용과 시사점을 정리해 드리겠습니다.

📊 2025년 1~3월 온라인쇼핑 동향 요약

1. 전체 거래액 추이

월 거래액 (조 원) 전년 동월 대비 증감률
1월 21.87 +1.3%
2월 21.06 +3.5%
3월 22.42 +2.6%

1분기 전체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약 65.35조 원으로, 전년 동기 대비 약 2.5% 증가했습니다.

2. 모바일쇼핑 비중 확대

월 모바일 거래액 (조 원) 모바일 비중 (%) 전년 동월 대비 증감률

1월 17.27 79.0% +5.9%
2월 16.13 76.6% +3.8%
3월 17.00 75.8% +4.2%

모바일쇼핑 거래액은 전체 온라인쇼핑의 약 77%를 차지하며,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.

3. 상품군별 거래액 변화

증가 품목:
음식서비스: 1월 +18.2%, 2월 +10.9%
농축수산물: 1월 +22.6%
음·식료품: 1월 +9.2%, 2월 +8.3%
통신기기: 2월 +53.9%

감소 품목:
이쿠폰서비스: 1월 -36.2%, 2월 -48.5%
의복: 1월 -32.2%
자동차 및 자동차용품: 1월 -34.8%

=> 과거 집앞 시장과 마트에서 구매했던 식품류가 온라인으로 전환가속되는것으로 보입니다

4. 쇼핑몰 유형별 거래액

종합몰:
1월: 12.45조 원 (-2.8%)
2월: 11.80조 원 (-1.2%)


전문몰:
1월: 9.42조 원 (+7.4%)
2월: 9.26조 원 (+10.2%)

전문몰의 거래액이 증가하며, 특정 상품군에 특화된 쇼핑몰의 성장세가 두드러지고 있습니다.



🔍 시사점 및 전망

1. 모바일 중심의 소비 패턴 강화: 모바일쇼핑의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, 기업들은 모바일 플랫폼 최적화와 사용자 경험 개선에 더욱 집중해야 합니다.

2. 전문몰의 성장 기회 확대: 특정 상품군에 특화된 전문몰의 거래액이 증가하고 있으므로, 니치 마켓을 공략하는 전략이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.

3. 상품군별 수요 변화에 대한 대응 필요: 음식서비스, 농축수산물 등 생활밀착형 상품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므로, 관련 상품의 공급 및 마케팅 전략을 강화할 필요가 있습니다.

4. 이쿠폰서비스 등 디지털 상품의 수요 감소: 이쿠폰서비스의 거래액이 큰 폭으로 감소하고 있어, 해당 시장의 변화 요인을 분석하고 대응 전략을 마련해야 합니다.

보다 자세한 내용은 통계청의 공식 보도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:

2025년 1월 온라인쇼핑동향
2025년 2월 온라인쇼핑동향
2025년 3월 온라인쇼핑동향 및 1/4분기 온라인 해외 직접 판매 및 구매 동향

Tip 셀러들에게는 과거 집앞 재래시장이나 마트에서 장보던 품목들이 대거 온라인으로 전환되는 추세가 강해지고 있습니다 이런추세는 1)택배를포함한 물류시스템이 개선과 2)업계의 경쟁심화 3)냉동냉장 유통기술 발전이 원인으로  
소상공인들에게는 슬픈일이지만 온라인 셀러들에게는 새로운 기회가 될 수도있습니다

반응형